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신교단이 극우기독교로 변한 이유! 손현보목사의 문제점

좋은 글

by 한베남 2025. 3. 10. 23:26

본문

반응형

고신대학교에 가면 돌비석이 하나 있습니다. 그 비석에는 글자가 하나 적혀 있습니다.

그 단어는 "코람데오 CORAM DEO " 즉 하나님 앞에서의 삶을 말합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걸음이며, 영적인 바른 삶의 모습을 말합니다.  그러나 최근 손현보 목사의 모습을 보면 고신교단의 신앙과 신사참배를 거부한 역사적인 전통교단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논란이 많습니다.

손현보목사가 시무하는 세계로교회, 그리고 고신 교단(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신학적, 정치적, 사회적 관점에서 나누어 분석해보고 적절한 방향까지 애기하고 싶습니다.


1. 세계로교회 손현보 목사는 극우 목사인가?

(1) 목사 개인의 정치 편향성

  • 손현보 목사는 특정 정치 세력, 특히 보수/극우 성향의 집회나 발언에 자주 등장하며, 목사로서 정치 중립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 교회 강단에서 정치적 메시지를 자주 전하고, 선거 관련 발언까지 한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이는 목회의 본질인 복음 선포와 영적 돌봄을 정치적 이슈로 덮어버리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공적/윤리적 책임 의식의 결여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방역 지침을 무시한 대규모 집회를 강행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이웃 사랑의 윤리, 사회 공동체 책임성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 일반 사회에서는 교회가 공공의 선을 이루는 기관으로 비춰지기를 바라지만, 오히려 사회적 신뢰를 크게 손상시켰습니다.

(3) 신학적 문제

  • 고신 교단의 개혁주의 신학을 따르면서도, 손현보 목사의 행보는 신앙의 정통과 생활의 순결이 중심인 고신교단과는 완전히 다르고, 하나님 앞에서 또는 복음의 본질보다는 정치적 이념극우적 민족주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고신의 신앙정체성과 행위의 불일치 문제가 지적됩니다.
  • 교회가 세속적 권력에 복무하는 듯한 모습은 종교개혁 전통, 특히 칼빈주의의 공적 책임과 교회의 독립성 원칙에 반하는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 고신 교단이 극우 교단인가?

(1) 고신 교단의 정체성

  • 고신(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나와 보수적 개혁주의 전통을 유지하는 교단입니다.
  • 신학적으로는 철저한 개혁주의, 성경 중심의 보수 신학을 지향합니다.
  • 윤리적, 교리적으로는 보수주의가 맞지만, 정치적 극우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2)  왜 고신의 목사는 침묵하며 극우로 보이는가?

  • 일부 목회자들(특히 대형교회 중심)이 강한 정치적 발언과 행동을 하면서 교단 전체가 극우처럼 보이는 현상.
  • 반동성애, 반이슬람, 반낙태 운동에 강하게 나서며, 이러한 주장이 정치적 이슈화되면서 극우로 분류되는 경우.
  • 그러나 고신 내에서도 이런 극단적 움직임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존재하며, 전체 교단이 동일한 정치적 노선을 걷는 것은 아님.
  • 오늘날의 고신은 과열된 총회 임원 선거전, 각종 선거의 불협화음, 특별위원회로 둘러싼 진통들, 세속적인 교권주의와 윤리적이지 못한 목사들의 문제들로 신사참배에 저항하던 정신은 이제 보이지 않고, 세속주의와 교권주의에 타협하고 회개의 삶은 보이지 않는다.

(3) 결론

  • 고신 교단이 본질적, 공식적으로 극우 교단은 아닌것 같음.
  • 다만, 일부 유명 목사들의 정치적 발언으로 인해 외부에서 그렇게 인식되는 문제.

3. 해결책 및 대안

(1) 목회자 윤리와 정치 중립 교육 강화

  • 교단 차원에서 정치적 중립에 대한 신학적 원칙 재확립 필요.
  • 교회 강단과 공적 발언의 경계 설정.
  • 목회자의 정치 발언에 대한 징계 기준 명확화.

(2) 교단의 신학과 사회참여의 균형 회복

  • 복음적 가치로 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것과 정치 이념을 복음화하는 것의 구분 필요.
  •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도 복음 중심성 유지.
  • '공적 신학'의 관점에서 시민사회와의 건강한 대화 모색.

(3) 교인들의 비판적 성찰 능력 강화

  • 신앙 교육을 통해 목회자의 정치적 발언에 대한 비판적 수용 태도 교육.
  • 맹목적 추종이 아닌, 성경적 기준으로 판단하는 능력 강화.

(4) 교회와 사회의 건강한 관계 회복

  • 사회적 신뢰 회복을 위한 교회의 자성 선언.
  • 사회적 이슈에 대한 포괄적 대화와 섬김의 태도 회복.
  • 정치적 극단주의가 아닌 사랑, 정의, 공의의 복음 실천 강조.

4. 정리 및 대안

구분 내용 대안

손현보 목사 문제 정치 편향, 사회적 책임 결여, 고신의 정통성 및 신학적 불일치 목회 윤리 확립, 정치 중립 지침
고신 교단의 성향 보수적 개혁주의, 일부 정치적 극단성 신학과 사회참여의 균형, 비판적 내적 토론 활성화
해결책 교회와 사회의 건강한 관계, 교인들의 비판적 사고 교육 공적 신학 확립, 복음 중심적 사회 참여

[좋은 글] - 개혁주의에서 본 정치와 교회

 

개혁주의에서 본 정치와 교회

정치와 교회 의 관계 오래전부터 교회가 씨름해 온 주제이며, 특히 최근 손현보 목사와 같은 사례를 통해 오늘날 한국교회가 다시 성찰해야 할 중요한 이슈입니다.아래에서 신학적 역사, 개혁주

mt633.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